전기레인지는 열원에 따라 인덕션, 하이라이트로 나뉜다. 인덕션과 하이라이트가 함께 있는 제품을 하이브리드라 한다. 자동차중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기와 기름을 함께 하는 것처럼 말이다. 종합해 보면 전기레인지의 제품 종류는 인덕션 레인지 원리, 하이라이트, 하이브리드 세가지 제품이 있습니다.
하이라이트와 하이브리드 발음이 비슷하여 혼동하는 분들이 많은데 분명 틀린 겁니다. 하이라이트와 라디언트는 같은 말 인데, 회사마다 부르는 이름이 다를뿐입니다.
이중에 인덕션에 대해 알아보고 인덕션의 원리를 알아보자. 인덕션 레인지 원리는 자기장을 이용해 피가열체(냄비) 자체에 열을 유도 시키는 간접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고 안정성이 좋다. 원리는 이러한데 말이 너무 어렵고 복잡하여 아래에서 다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인덕션 레인지 원리 및 장점은 가스레인지에 비해 실내공기 오염을 줄일수 있고, 기기 자체에서 열이 많이 발생하지않기 때문에 더운 여름엔 실내온도 상승을 막을수 있으며, 상판이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열로인한 화상등의 피해가 없다. 그리고 인덕션 레인지 원리 무엇보다 빠른 조리가 최대 장점입니다.
인덕션을 켜고 상판체 손을 올려 두면 아무일도 안 일어 납니다. 하지만 손을 떼고 음식물이 들어 있는 냄비를 올려두면 순식간에 뜨거워 지죠.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지 이해하려면 과학적 원리를 알아야 합니다. 인덕션은 코일을 세라믹플레이트로 덮어서 만듭니다. 쉽게 말해 인덕션의 그릇이 놓여지는 바닥 아래에 코일이 깔려 있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원을 켜면 전기장이 코일에 흘러 자기장을 생성합니다. 이과정이 실제로 열을 발생 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자기장은 스스로 열을 낼수 없으니, 열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냄비가 필요 합니다. 자기장이 냄비와 접촉하면, 자기장이 철과 상호작용을해 냄비 안에 전기를 만드는데요. 철과 스테인리스 스틸은 전기 전도율이 낮아 순식간에 열로 변환됩니다. 즉 자기장이 철과 스테인레스를 만나 저항이 생겨서 그 저항이 열로 바뀌는것 입니다. 그러면 냄비 안쪽에만 열이 발생하게 되죠. 그래서 인덕션 열은 냄비의 아래가 아닌 안쪽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안전 합니다. 또한 이러한 인덕션 레인지 원리 이유로 인덕션은 전용 용기를 사용 해야 하는것 입니다.
자기장이 작용하는 관점에서 봤을때 냄비 아래 있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교류 자기장이 발생하게 되고 이 교류 자기장은 투사율이 큰 냄비쪽으로 집중되고 냄비에 와전류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와전류와 냄비의 저항때문에 열이 발생한다. 이 열에의해 인덕션 레인지 원리 전기레인지 상판위 음식물이 조리가 되는 것입니다.
인덕션의 장점으로는 요리가 빨리 되며, 청소가 간단 하다는 겁니다. 또한 상판이 뜨거워 지지 않아 안전 하다는 겁니다. 가장큰 문제는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철 냄비만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즉 자석에 붙는 제품들만 사용 가능 하다는것 입니다. 가스레인지 처럼 아주 큰 냄비를 가열 하는게 힘들수 있다. 가장큰 단점으로는 비싸다는것 입니다. 일반 가스레인지에 비해서 5~10배 까지 가격 차이가 난다.
전기레인지의 종류는 크게 인덕션과 하이라이트로 나누어 지는데, 둘중에 선택이 어려운분들은 두가지가 혼합하여 들어가 있는 하이브리드 제품을 선택 하시면 됩니다. 단 하이브리드는 고장날 확률이 더 높다는 이야기가 들려 오곤 합니다. 아무래도 두가지 제품이 혼합 하여 작동하고, 하이라이트에서 직접적인 열이 많이 발생 하기때문에 그런 이야기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하이라이트를 직접 써본 결과 열이 상상 이상으로 많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하이라이트는 별도의 열을 식히는 팬이 내장 되어 있어 조리가 끝난 후에도 팬이 돌면서 그 열을 식혀 줍니다. 조리후 상판의 잔류열에 의한 화상에 주의 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인덕션은 뚝배기 조리는 되지 않으나 하이라이트는 인덕션 레인지 원리 다소 시간이 걸리지만 뚝배기 조리가 됩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예령 신년 돌직구 질문 (0) | 2019.01.11 |
---|---|
현빈 손예진 동반......열애? (0) | 2019.01.10 |
전기차 충전요금 비교(일반차 유류비 비교) (0) | 2019.01.05 |
전기차 충전정보 및 충전소 조회 (0) | 2019.01.04 |
전기차의 구동 원리 및 특징/전기자동차 (0) | 2019.01.03 |
댓글